잭 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잭 쿰스는 1882년 태어나 1957년 사망한 미국의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메이저 리그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1910년에는 31승, 평균자책점 1.30을 기록하는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브루클린 로빈스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필라델피아 필리스 감독을 역임했다. 은퇴 후에는 듀크 대학교 야구팀 감독으로 381승을 기록했고, 1931년에는 야구 관련 저서를 출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라델피아 필리스 감독 - 라인 샌드버그
라인 샌드버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시카고 컵스에서 2루수로 16시즌을 뛰며 뛰어난 수비와 타격으로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선수이자 감독으로, 골드 글러브 9회 수상, 올스타 10회 선정, 1984년 MVP 수상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시카고 컵스 등번호 23번은 영구 결번되었다. - 필라델피아 필리스 감독 - 버키 해리스
버키 해리스는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 감독, 단장으로, 선수 시절 2루수로 활약했으며 1924년 워싱턴 세네터스의 선수 겸 감독으로 월드 시리즈 우승을 이끌었고, 여러 팀에서 감독직을 수행한 후 1975년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콜비 칼리지 동문 - 재닛 밀스
재닛 밀스는 미국의 정치인이자 변호사이며 메인주 최초의 여성 주지사로, 마약 합법화에 반대하고 LGBT 권리를 옹호하는 온건한 민주당 성향을 보이며 메디케이드 확장, 기후 변화 대응, 원주민 관계 개선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 콜비 칼리지 동문 - 애니 프루
애니 프루는 《선박 뉴스》로 퓰리처상과 전미 도서상을 수상하고 "브로크백 마운틴"으로도 유명한 미국의 소설가, 단편 소설 작가, 저널리스트로, 인간 본성에 대한 날카로운 시각과 사회 비판적 메시지, 특히 와이오밍을 배경으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 브루클린 로빈스 선수 - 루브 마쿼드
루브 마쿼드는 1886년에 태어나 1908년부터 1925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투수로 활약했으며, 1912년 리그 다승왕을 차지하고 통산 201승을 기록하여 1971년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브루클린 로빈스 선수 - 대지 밴스
대지 밴스는 1915년부터 1935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투수로 활동하며 브루클린 로빈스에서 전성기를 누린 미국의 전직 프로 야구 선수로, 1924년 내셔널 리그 트리플 크라운 달성 및 최우수 선수상 수상, 1955년 야구 명예의 전당 헌액 등의 업적을 남겼다.
잭 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John Wesley "Jack" Coombs |
출생지 | 아이오와주 르그랜드 |
사망지 | 텍사스주 팔레스타인 |
신장 | 183cm |
체중 | 83kg |
투구 | 우투 |
타석 | 양타 |
수비 위치 | 투수 |
출신 학교 | 콜비 칼리지 |
데뷔 | MLB / 1906년 7월 5일 |
마지막 경기 | MLB / 1920년 7월 18일 |
선수 경력 | |
소속 팀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1906–1914) 브루클린 로빈스 (1915–1918)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20) |
수상 내역 | |
주요 수상 | 3× 월드 시리즈 우승 (1910, 1911, 1913) 2× AL 다승 1위 (1910, 1911) 필라델피아 야구 명예의 벽 헌액 |
통계 (MLB) | |
승패 기록 | 158–110 |
평균 자책점 | 2.78 |
탈삼진 | 1,052 |
감독 경력 | |
소속 팀 | 필라델피아 필리스 (1919) |
기타 | |
영어 이름 | John Wesley "Jack" Coombs |
콜비 칼리지 별칭 | Colby Jack |
2. 어린 시절
존 웨슬리 쿰스는 1882년 11월 18일 미국 아이오와주 르그랜드에서 프랭크 H. 쿰스와 엘렌 J. 스노우 쿰스의 다섯 자녀 중 첫째로 태어났다.[5] 쿰스 부부는 메인주 출신으로 2년 전에 결혼해 그곳에서 살다가, 1881년 아이오와 주로 이주해 홈스테드 법으로 농지를 얻었다. 아버지 프랭크 쿰스는 대장장이로 일했으며, 어머니 넬리 스노우는 존 쿰스를 포함해 커티스, 어니스트, 앨리스를 키웠다.[6] 쿰스는 4세 때 가족과 함께 메인주 남쪽 케네벙크로 이주했다.[5]
잭 쿰스는 졸업 후 3주 만에 워싱턴 세네터스를 상대로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소속으로 메이저 리그 첫 경기에 출전, 7안타 완봉승을 거두었다.[1] 1906년에는 10승 10패, 2.50의 평균자책점(ERA)을 기록했고, 보스턴을 상대로 24이닝 완투 경기를 펼쳐 18개의 삼진을 잡아내며 4-1로 승리했다.[1] 1907년에는 6승 9패, 3.12 ERA를 기록했고, 1908년과 1909년에는 ERA가 각각 2.00과 2.32였음에도 불구하고 19승 16패의 성적을 거두었다.[3]
쿰스는 프리포트 고등학교에서 우등생으로 대학 과정을 선행했고, 여름에는 지역 세미프로 야구 리그에서 투수로 뛰었으며, 미식축구에도 재능을 보였다. 콜비 칼리지 출신 J. F. 힐 박사의 추천으로, 고등학교 마지막 해에 콜비 칼리지 예비 학교인 콜번 클래시컬 인스티튜트로 전학했고, 1902년 봄에 졸업했다.[6] 1902년 가을 콜비 칼리지에 입학해 화학을 전공했다. 야구, 농구, 미식축구, 육상 등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특히 야구와 농구 학교 대표팀 주장을 맡았고, 메인주 대학 간 야구 대회에서는 모든 포지션을 소화했다.[5] 여름에는 지역 세미프로 야구팀에서 뛰며 학비를 벌었다.[6]
3. 프로 경력
1910년은 쿰스에게 최고의 시즌이었다. 31승 9패, 1.30 ERA를 기록했으며, 아메리칸 리그(AL)에서 승리(31승), 출장 경기수(45경기), 완봉승(13번) 부문 1위를 차지했다. 13번의 완봉승은 현재까지도 AL 단일 시즌 기록이다. 7월에는 19번의 선발 등판 중 18번을 승리했고, 53자책점 없는 이닝을 기록했는데, 이는 당시 메이저 리그 기록이었다.[3] 1900년 이후 한 시즌에 30승을 거둔 13명의 투수 중 한 명이며, 1910년 월드 시리즈에서 시카고 컵스를 상대로 3승을 거두며 팀 우승에 기여했다.
1911년에도 28승으로 AL 다승 1위를 차지했고, 1911년 월드 시리즈에서 1승을 추가하며 팀의 챔피언 자리를 지키는데 공헌했다.[3] 1912년에는 21승을 거두었다.[3] 1913년과 1914년에는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애슬레틱스에서 방출된 후, 1915년부터 1918년까지 브루클린 로빈스에서 활약했다. 1916년 월드 시리즈에서 1승을 거두었지만, 팀은 시리즈에서 패했다.[3]
1919년에는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감독으로 62경기를 지휘, 18승 44패의 성적을 거둔 후 개비 크라바스로 교체되었다. 1920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에서 마지막 한 해를 뛰고 은퇴했다.
쿰스는 메이저 리그 통산 158승 110패, 2.78의 ERA, 1,052개의 삼진을 기록했다. 14년간의 메이저 리그 경력 동안 뛰어난 타격을 선보인 투수로, .235의 타율(261/1110)과 4개의 홈런, 123득점, 100타점을 기록했다. 선수 생활 동안 62경기에 외야수로 출전했으며, 6번의 월드 시리즈 경기에서 .333 (8/24)의 타율과 4타점을 기록했다.[3]
3. 1.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잭 쿰스는 1906년 졸업 3주 후, 워싱턴 세네터스를 상대로 메이저 리그 데뷔전을 치러 7안타 완봉승을 거두었다.[1] 같은 해 평균자책점(ERA) 2.50, 10승 10패를 기록했고, 보스턴을 상대로 24이닝 완투승을 거두며 18개의 삼진을 잡아냈다.[1]
1910년은 쿰스에게 최고의 시즌이었다. 31승 9패, 1.30의 ERA를 기록했고, 아메리칸 리그(AL)에서 승리(31승), 출장 경기수(45경기), 완봉승(13번) 부문 1위를 차지했다. 13번의 완봉승은 현재까지도 AL 단일 시즌 기록이다. 7월에는 19번의 선발 등판 중 18번을 승리했고, 53자책점 없는 이닝을 기록했는데, 이는 당시 메이저 리그 기록이었다.[3] 1900년 이후 한 시즌에 30승을 거둔 13명의 투수 중 한 명이며, 1910년 월드 시리즈에서 시카고 컵스를 상대로 3승을 거두며 팀 우승에 기여했다.
1911년에도 28승으로 AL 다승 1위를 차지했고, 1911년 월드 시리즈에서 1승을 추가하며 팀 우승을 도왔다.[3] 1912년에는 21승을 기록했다.[3] 1913년과 1914년에는 건강 문제로 많은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3. 1. 1. 1906~1909
쿰스는 대학 졸업 후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갈 계획이었으나,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감독 코니 맥의 동생 톰 맥의 추천으로 1905년 12월에 애슬레틱스와 시즌 2400USD에 계약했다.[5][7] 1906년 7월 2일, 애슬레틱스 선수단에 합류하여 연습 투구를 선보였고,[10] 사흘 뒤인 7월 5일, 워싱턴 세너터스와의 경기에 메이저 리그 데뷔 선발 등판해 7피안타 5볼넷 6탈삼진 완봉승을 기록했다. (팀은 3-0 승리)[8]
1906년 9월 1일 보스턴 아메리칸스와의 더블헤더 경기 중 첫 시합에서는 조 해리스를 상대로 선발 등판해 24이닝 15피안타 18탈삼진 완투승을 거두었다.[5] 1906년 시즌 23경기(선발 18경기)에서 173이닝을 던지며 10승 10패, 2.5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9]
1907년 시즌 개막전에서 사이 영을 상대로 선발 등판했으나, 8이닝까지 1실점 후 9회 팀의 실책 등으로 3점을 내주었고, 경기는 13회까지 동점으로 이어지다가 14회에 쿰스가 4실점하면서 보스턴이 승리했다.[11] 1907년 6월 27일부터 팔 부상으로 경기에 나서지 못하다가, 시즌 후반 팔이 완전히 낫지 않은 상태에서 팀에 복귀했다.[12] 1907년 시즌에는 3.12의 평균자책점과 6승 9패를 기록했다.[5][9]
1908년에는 스프링 트레이닝에서 애슬레틱스의 주전 선수들이 줄줄이 부상을 당하며 팀이 어려움을 겪었다. 주전 중견수 루브 올드링과 우익수 삭스 세이볼드가 빠지면서 코니 맥 감독은 잭 쿰스에게 우익수를 맡겼다.[13] 쿰스는 외야수로 47경기, 1루수로 1경기에 출전했다.[9] 시즌 초반 3할이 넘는 타격을 선보였지만, 이후 슬럼프를 겪으면서 대니 머피에게 자리를 내주었다.[5] 1908년 시즌 56안타 23타점, .255의 타율을 기록했다.[9] 그 이후 쿰스는 다시 마운드로 복귀해 26경기(선발 18경기)에 등판, 7승 5패 2.0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9]
1909년, 잭 쿰스는 개막 이후 첫 3승을 모두 완봉승으로 거두었는데, 그 중 2승이 월터 존슨과 에드 월시와의 맞대결에서 따낸 것이었다. 18경기에서 완투를 하며 데뷔 이후 처음으로 200이닝을 돌파했다.[5][14] 1909년 시즌 30경기(선발 24경기)에 나서 205⅔이닝을 던져 12승 11패, 2.32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9] 쿰스는 이때까지 모두 35승 35패의 동률을 기록했고, 1910년은 야구 경력을 어떻게 이어나갈 것인지 성적으로 보여주어야 하는 분기점이 되는 해였다.[15] 1909년 시즌 중부터 자신의 주무기 커브와는 다른 떨어지는 유인구를 개발하기 시작했고,[14] 다음해 스프링 트레이닝 때 이를 연마하는 동시에 구속을 줄이고 제구력에 더 많은 신경을 쓰려고 애썼다.[16]
3. 1. 2. 1910~1911
1910년 시즌 초, 쿰스는 덜 풀린 날씨와 제구 난조로 어려움을 겪으며 첫 6주 동안 네 번밖에 선발 등판하지 못했고, 개막 후 한 달 가까이 되어서야 첫 승을 거두었다.[5][17] 부진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이러 토머스 대신 잭 랩을 전용 포수로 기용하여 제구를 향상시키고,[18] 낙차가 큰 커브를 자주 사용하여 타자들의 방망이를 이끌어내려 했다.[5] 그 결과 6월 말까지 8승 4패를 기록했는데, 그중 2승은 시카고 화이트삭스를 상대로 각각 1안타와 2안타만 허용하며 거둔 승리였다.[19][20] 시즌 중반, 주축 투수였던 에디 플랭크, 치프 벤더, 해리 크라우스가 부상으로 자리를 비운 사이, 쿰스는 팀에서 가장 많은 이닝을 소화하며 승수를 쌓았다.[21] 7월에는 이틀 간격으로 열 번 선발 등판하여 모두 완봉승을 거두었고,[22] 7월 12일부터 9월 30일까지 53이닝 연속 무실점 기록을 세웠다.[21] 8월 4일, 쿰스는 화이트삭스의 에드 월시와 16이닝 동안 승부를 펼쳤으나, 양 팀 모두 점수를 내지 못하고 경기가 종료되었다. 쿰스는 이 경기에서 3안타만 허용하고 18탈삼진을 기록했으며, 훗날 자신의 야구 인생 최고의 경기였다고 회고했다.[5] 그해 쿰스의 시즌 최종 기록은 45경기(선발 38경기) 353이닝, 31승(27선발승) 9패, 13완봉, 평균자책점 1.30, 224탈삼진이었다. 등판 경기 횟수, 승수, 완봉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평균자책점과 완투는 2위, 투구 이닝과 탈삼진은 3위에 올랐다. 또한, 이번 시즌 무피홈런을 기록했다.[9]
이 해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는 102승 48패를 기록, 2위 뉴욕 하이랜더스를 14.5경기 차로 크게 앞서며 아메리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23] 시카고 컵스와 맞붙은 1910년 월드 시리즈에서 애슬레틱스의 코니 맥 감독은 치프 벤더와 잭 쿰스, 단 두 명의 투수만 기용했다.[24] 쿰스는 2차전, 3차전, 5차전에 등판했다. 2차전에서는 모데카이 브라운과 선발 맞대결을 펼쳐 8안타 9볼넷을 허용했지만 3실점으로 막아내며 팀의 9-3 승리를 이끌었다.[25] 하루 쉬고 다시 선발 등판한 3차전에서는 5실점했지만, 팀 타선의 대량 득점에 힘입어 12-5 승리를 거두었고, 쿰스 자신도 3타점을 올리며 힘을 보탰다.[24] 마지막 5차전에서 쿰스는 모데카이 브라운을 상대로 다시 선발 등판, 9피안타 2실점하며 팀의 7-2 승리를 이끌었고, 팀은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24]
1911년 시즌, 잭 쿰스는 47경기(선발 40경기) 이닝, 28승 12패, 평균자책점 3.53, 185탈삼진을 기록했다. 2년 연속 다승 1위를 차지하는 동시에, 리그 최다 선발 등판을 기록했다.[9] 지난 해에 비해 평균자책점이 세 배 가까이 올랐고, 시즌 중 신문 기사에서는 쿰스를 "더 콜비 코이누르"(The Colby Kohinoor)라는 별명으로 부르기도 했다.[5] 그는 피안타와 자책점 부문에서도 1위를 기록했으며, 볼넷 허용도 2년 연속 2위였다.[9] 하지만 아메리칸 리그에서 쿰스보다 더 많은 경기에 등판하고, 더 많은 이닝을 소화한 선수는 화이트삭스의 에드 월시뿐이었다. 쿰스는 팀 내 투수진 가운데에서도 가장 압도적인 출장 시간과 성적을 기록하며 에이스의 면모를 과시했다. 타격에서는 이번 시즌 야수로 출장한 경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개인 경력에서 유일하게 3할 이상의 타율을 기록했다.[26] 시즌 후 아메리칸 리그 MVP 투표에서 12위에 올랐다.[27]
이 해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는 101승 50패를 기록하며 2년 연속 아메리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28] 뉴욕 자이언츠와 맞붙은 1911년 월드 시리즈에서 애슬레틱스의 투수진은 치프 벤더, 잭 쿰스, 에디 플랭크로 구성되었다.[29] 쿰스는 3차전과 5차전에 각각 선발 등판했다. 3차전에서는 크리스티 매슈슨과 맞대결을 벌여 연장 11회까지 가는 승부 끝에 쿰스가 승리하며 애슬레틱스를 도왔다.[30] 5차전에서는 루브 마쿼드와 맞대결을 벌였다. 쿰스는 6회 사타구니 부상을 당했지만 마운드를 지켰다.[5] 결국 9이닝 8피안타 9탈삼진 3실점을 기록했지만 승부는 나지 않았다. 경기는 연장으로 이어졌고, 자이언츠가 승리했다.[31] 6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애슬레틱스는 4승 2패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는데, 애슬레틱스 투수진은 6경기에서 8실점으로 훌륭하게 막아냈다.[29]
3. 1. 3. 1912~1914
잭 쿰스는 1912년 시즌 개막전에 선발로 나서 워싱턴 세너터스의 홈구장에서 월터 존슨과 맞대결해 팀의 4-2 승리를 이끌었다. 하지만 작년 월드 시리즈에서의 부상 여파로 두 번째 등판에서 통증을 호소하며 교체되었고,[32] 한 달간 휴식을 취했다.[5][33] 5월에 복귀한 후에는 거의 3일마다 등판했고,[34] 시즌 중반에는 코니 맥 감독의 투수 기용 방식 변화로 선발보다 구원으로 투입되었다.[35] 시즌 말까지 꾸준히 활약하며 세인트루이스 브라운스 전에서 시즌 마지막 승리를 거두었는데, 5안타 11탈삼진을 기록하며 팀의 한 점차 승리를 이끌었다. 이 경기가 애슬레틱스에서의 쿰스의 마지막 승리였다.[35] 이번 시즌 40경기(선발 32경기)에 나서 이닝 동안 21승 10패, 평균자책점 3.29, 120탈삼진을 기록했다. 3년 연속 20승을 달성했지만, 지난 2년보다 투구 이닝은 70이닝가량 줄었다.[9]
1913년 시즌을 앞두고 스프링 트레이닝 중에 쿰스는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에서 고열로 힘들어했는데, 식중독 및 늑막염 진단을 받고 휴식을 취했다.[5] 4월 10일, 보스턴 레드삭스와의 개막전에 선발로 내정되어 3이닝을 노히트로 막고 6회 치프 벤더와 교체되었으며, 경기는 10-5로 애슬레틱스가 승리했다.[5][36] 이틀 뒤 다시 선발 등판했으나 이닝 동안 2피안타 1볼넷, 4실점하고 강판되었다.[37] 쿰스는 보스턴에서의 시리즈를 끝내고 팀 동료들과 워싱턴으로 향했지만, 고통이 심해져 필라델피아로 돌아가 장티푸스 진단을 받았다. 8월에 복귀하려 했지만 정상적인 회복을 위해 다시 병원에 들어갔고, 이 기간 몸무게가 25kg가량 감소했다.[5] 이 해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는 월드 시리즈에서 2년 만에 다시 뉴욕 자이언츠와 맞붙어 우승했다. 쿰스의 공백기는 다음 해인 1914년 시즌까지 이어졌다. 1914년 시즌에는 팀 순위가 정해진 시즌 막판에 두 경기에 선발 출전해 도합 8이닝 8피안타 4실점, 4.5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38] 시즌 후인 12월 9일, 애슬레틱스에서 방출되었다.[39]
3. 2. 브루클린 로빈스
애슬레틱스에서 방출된 직후 나이와 건강 문제로 은퇴를 고려하기도 했지만, 전직 팀 동료들과 코니 맥 감독의 추천으로 잭 쿰스는 1915년 1월 브루클린 로빈스에 입단했다.[40] 1915년 4월 30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경기에서 이적 후 처음으로 선발 등판해, 에파 릭시와 맞대결을 벌여 1점차 완투승을 거두었다.[41] 이후 계속 선발로 기용되었다. 1911년 월드 시리즈 이후 처음이었던 크리스티 매슈슨과의 두 차례 맞대결에서도 모두 승리했다.[5] 1915년 시즌 29경기(선발 24경기)에 나서 이닝을 던지며 15승 10패, 2.5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9] 지난 2년간의 공백기를 보낸 후 복귀해서 준수한 성적을 냈지만, 그의 몸상태가 완전한 것은 아니었다. 당시 야구 기자 F. C. 레인에 따르면, "지나친 커브 구사로 인해 쿰스의 팔꿈치 인대가 딱딱하게 굳어져 팔 길이가 줄어들어 있었다"고 한다.[5] 그럼에도 계속해서 공을 던진 그는 1916년 시즌에는 27경기(선발 19경기) 159이닝, 13승 8패, 2.6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하며, 여전히 좋은 투구를 보여주었다.[9]
브루클린 로빈스는 1916년 시즌 94승 60패를 기록해, 2위 필라델피아 필리스를 2.5경기차로 근소하게 따돌리고 내셔널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43] 구단 역사상 최초로 월드 시리즈에 진출한 로빈스는 1916년 월드 시리즈에서 아메리칸 리그 우승팀 보스턴 레드삭스와 맞붙었다.[44] 잭 쿰스는 홈구장 에베츠 필드에서 치러진 3차전에 선발 등판했다. 그는 칼 메이스와 맞대결을 벌여 이닝 동안 7안타를 내주며 3실점했고, 로빈스는 4-3으로 승리하며 승리 투수가 되었다.[45] 이로써 쿰스는 월드 시리즈에 출전한 경기에서 무패 행진을 이어갔다.[42] 하지만 이 승리는 시리즈 통틀어 로빈스의 유일한 승리였고, 레드삭스는 5차전을 승리하며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44]
1917년 잭 쿰스는 141이닝을 던지며 7승 11패, 3.96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시즌 31번의 등판 가운데 17번이 구원 등판으로,[9] 풀타임 시즌 중 선발 등판 횟수가 가장 적었다. 시즌 후 그는 스프링 트레이닝 기간 동안 라이스 대학교에서 코치로 일하기도 했고, 몇몇 스포츠 매체에서 피츠버그 파이리츠 또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감독 후보 중 하나로 이름이 오르내리기도 했다.[46] 다음 시즌 그는 27경기(선발 20경기)에 출전해, 8승 14패, 3.81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피홈런은 10개로 리그 1위였다.[9] 그해 6월 4일, 그는 메이저 리그 경기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경기 중 퇴장을 당했다. 카디널스와의 경기에서 1-1 동점 상황이 진행중인 가운데, 13회 구원 등판한 그는 타구의 페어 판정 여부를 놓고 심판에게 항의하다 퇴장을 명령받았다.[47] 1918년 8월 1일, 그는 신시내티 레즈를 상대로 4-0 승리를 거뒀는데, 이는 개인 통산 마지막 완봉승이었다.[5] 8월 30일, 그는 자이언츠를 상대로 8이닝까지 무실점으로 버티다 9회 솔로 홈런을 내주며 패배했다. 이 경기 후 그는 선수로서의 은퇴를 표명했다.[47] 하지만 이 경기가 그의 마지막 메이저 리그 등판은 아니었다.
3. 3.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20년 6월 30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경기에서 타이거스가 4회까지 0-12로 크게 뒤지자, 잭 쿰스는 5회에 패전 처리 투수로 등판했다.[51] 21개월 만의 등판이었지만, 5이닝 동안 5피안타 2실점으로 호투했다.[51] 7월 18일, 워싱턴 세너터스와의 경기에서 다시 패전 처리 투수로 등판하여 이닝 동안 2피안타 1볼넷 3실점을 기록했다.[52] 이 경기가 잭 쿰스의 메이저 리그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1920년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 쿰스는 메이저 리그에서 158승 110패, 평균자책점 2.78, 1,052개의 삼진을 기록했다.
4. 지도자 경력
1918년 12월 17일, 잭 쿰스는 필라델피아 필리스의 새로운 감독으로 선임되었다.[47] 1919년 잭 쿰스가 이끄는 필리스는 시즌 중반까지 18승 44패를 거두며, 3할에도 미치지 못하는 승률을 기록했다.[48] 결국 7월 9일 감독직에서 사임했다. 사임 당시 그는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한에서 모든 것을 하려고 노력했다. … 팀을 더욱 강하게 만들기 위해 몇 차례의 시도를 해봤지만 허사였다. 이 모든 것이 내 잘못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이야기하며 아쉬움을 나타냈다.[49]
그해 12월, 잭 쿰스는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의 투수 코치로 부임했다.[50] 1920년 6월 30일, 타이거스와 화이트삭스의 경기에서 4회까지 점수가 0-12로 상대편에게 기울자 5회 패전 처리로 등판했다. 21개월만의 등판임에도 불구하고, 5이닝 동안 5피안타 2실점으로 막았다.[51] 7월 18일, 세너터스와의 경기에서 다시 패전 처리로 등판해 이닝 동안 2피안타 1볼넷 3실점했다.[52] 이 경기가 잭 쿰스의 메이저 리그 마지막 경기가 되었다.
이후 쿰스는 듀크 대학교(1929–1952)에서 선수들을 메이저 리그로 배출하며 챔피언십 우승을 이끈 코치가 되었다. 듀크 대학교의 야구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쿰스의 코치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 | 경기 | 승 | 패 | 무 | 승률 |
---|---|---|---|---|---|---|
1918 | 라이스 올빼미스 | 14 | 6 | 8 | 0 | .429 |
1929 | 듀크 블루 데빌스 | 18 | 13 | 5 | 0 | .722 |
1930 | 듀크 블루 데빌스 | 22 | 17 | 5 | 0 | .773 |
1931 | 듀크 블루 데빌스 | 15 | 11 | 4 | 0 | .733 |
1932 | 듀크 블루 데빌스 | 22 | 15 | 7 | 0 | .682 |
1933 | 듀크 블루 데빌스 | 19 | 12 | 7 | 0 | .632 |
1934 | 듀크 블루 데빌스 | 24 | 20 | 4 | 0 | .833 |
1935 | 듀크 블루 데빌스 | 27 | 24 | 3 | 0 | .889 |
1936 | 듀크 블루 데빌스 | 25 | 18 | 7 | 0 | .720 |
1937 | 듀크 블루 데빌스 | 24 | 22 | 2 | 0 | .917 |
1938 | 듀크 블루 데빌스 | 21 | 18 | 3 | 0 | .857 |
1939 | 듀크 블루 데빌스 | 24 | 22 | 2 | 0 | .917 |
1940 | 듀크 블루 데빌스 | 23 | 16 | 7 | 0 | .696 |
1941 | 듀크 블루 데빌스 | 25 | 14 | 11 | 0 | .560 |
1942 | 듀크 블루 데빌스 | 22 | 15 | 7 | 0 | .682 |
1943 | 듀크 블루 데빌스 | 12 | 8 | 4 | 0 | .667 |
1944 | 듀크 블루 데빌스 | 16 | 9 | 7 | 0 | .563 |
1945 | 듀크 블루 데빌스 | 16 | 9 | 7 | 0 | .563 |
1946 | 듀크 블루 데빌스 | 23 | 15 | 8 | 0 | .652 |
1947 | 듀크 블루 데빌스 | 28 | 18 | 10 | 0 | .643 |
1948 | 듀크 블루 데빌스 | 27 | 15 | 12 | 0 | .556 |
1949 | 듀크 블루 데빌스 | 30 | 12 | 17 | 1 | .417 |
1950 | 듀크 블루 데빌스 | 29 | 11 | 18 | 0 | .379 |
1951 | 듀크 블루 데빌스 | 25 | 17 | 8 | 0 | .680 |
1952 | 듀크 | 38 | 31 | 7 | 0 | .816 |
통산 | 569 | 387 | 179 | 3 | .683 |
5. 은퇴 이후
쿰스는 듀크 대학교에서 선수들을 메이저 리그로 배출하며 챔피언십 우승을 이끈 코치가 되었다(1929–1952). 듀크 대학교의 야구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은퇴 후에는 스포츠 역사학자이자 작가로 활동했다.[4] 1938년에는 ''야구 – 개인 플레이와 팀 전략''을 출판했다.[4]
6. 개인적인 삶
존 웨슬리 쿰스는 1882년 11월 18일 미국 아이오와주 시골 르그랜드에서 태어났다.[5] 4살 때 가족과 함께 메인주 남쪽의 케네벙크로 이주했다.[5] 1910년 11월 29일, 매리 엘리자베스 루스와 결혼했다.[53] 은퇴 후에는 아내의 고향인 텍사스주 팔레스타인에서 가족과 함께 여생을 보냈다. 골프를 즐기고 담배도 피웠으며, 퀘이커 교도였다.[15] 가족이나 가까운 친지들은 그를 존 웨슬리 쿰스라는 본명으로 불렀다.[6] 1957년 4월 15일, 팔레스타인에 있는 자신의 집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여 세인트 조지프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57][58]
7. 출연 영화
- ''월드 챔피언십 시리즈''(1910) *다큐멘터리 단편
- ''The Baseball Bug''(1911) *단편
- ''애니메이션 위클리, No. 41''(1916) *다큐멘터리 단편
- ''1916년 월드 시리즈 게임, 보스턴 vs 브루클린''(1916) *다큐멘터리
- ''1917년 야구 리뷰''(1917) *다큐멘터리

참조
[1]
웹사이트
Jack Coombs
https://sabr.org/bio[...]
2019-07-23
[2]
웹사이트
The National Pastime
http://freeporthisto[...]
2019-07-23
[3]
웹사이트
Jack Coombs Stats
https://www.baseball[...]
2021-11-05
[4]
웹사이트
The Baseball Bug
http://www.thanhouse[...]
Thanhouser Company Film Preservation, Inc.
2016-01-22
[5]
웹인용
Jack Coombs
http://sabr.org/biop[...]
미국야구연구협회
2015-11-29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웹인용
Jack Coombs Statistics and History
http://www.baseball-[...]
2015-12-04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웹인용
The 1910 Philadelphia Athletics Regular Season Game Log
http://www.retroshee[...]
2015-12-16
[18]
서적
[19]
웹인용
Events of Monday, May 16, 1910
http://www.retroshee[...]
2015-12-16
[20]
웹인용
Events of Thursday, June 16, 1910
http://www.retroshee[...]
2015-12-16
[21]
서적
[22]
서적
[23]
웹인용
1910 American League Team Statistics and Standings
http://www.baseball-[...]
2015-12-17
[24]
웹인용
1910 World Series
http://mlb.mlb.com/m[...]
2015-12-17
[25]
웹인용
Oct 18, 1910, Cubs at Athletics Box Score and Play by Play
http://www.baseball-[...]
2015-12-17
[26]
서적
[27]
웹인용
Baseball Awards Voting for 1911
http://www.baseball-[...]
2015-12-22
[28]
웹인용
1911 American League Team Statistics and Standings
http://www.baseball-[...]
2015-12-22
[29]
웹인용
1911 World Series
http://mlb.mlb.com/m[...]
2015-12-22
[30]
웹인용
Oct 17, 1911, Athletics at Giants Play by Play and Box Score
http://www.baseball-[...]
2015-12-22
[31]
웹인용
Oct 25, 1911, Athletics at Giants Play by Play and Box Score
http://www.baseball-[...]
2015-12-22
[32]
서적
[33]
웹인용
The 1912 Philadelphia Athletics Regular Season Game Log
http://www.retroshee[...]
2015-12-23
[34]
서적
[35]
서적
[36]
웹인용
Philadelphia Athletics 10, Boston Red Sox 9
http://www.retroshee[...]
2015-12-23
[37]
웹인용
Philadelphia Athletics 5, Boston Red Sox 4
http://www.retroshee[...]
2015-12-23
[38]
웹인용
1914 Pitching Gamelogs
http://www.baseball-[...]
2015-12-23
[39]
문서
[40]
문서
[41]
웹인용
Apr 30, 1915, Dodgers at Phillies Play by Play and Box Score
http://www.baseball-[...]
2015-12-26
[42]
뉴스
Coombs Has Never Been Beaten In World's Series
https://web.archive.[...]
1916-10-11
[43]
웹인용
1916 National League Team Statistics and Standings
http://www.baseball-[...]
2015-12-26
[44]
웹인용
1916 World Series
http://mlb.mlb.com/m[...]
2015-12-26
[45]
웹인용
Oct 10, 1916, Red Sox at Dodgers Box Score and Play by Play
http://www.baseball-[...]
2015-12-27
[46]
문서
[47]
문서
[48]
웹인용
Jack Coombs Managerial Record
http://www.baseball-[...]
2015-12-27
[49]
뉴스
Charles Cravath To Lead "Phils", John Coombs "Resigned" his Managerial Job
https://news.google.[...]
1919-07-09
[50]
문서
[51]
웹인용
Jun 30, 1920, White Sox at Tigers Box Score and Play by Play
http://www.baseball-[...]
2015-12-27
[52]
웹인용
Jul 18, 1920, Tigers at Senators Box Score and Play by Play
http://www.baseball-[...]
2015-12-27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웹인용
Jack Coombs
https://archive.toda[...]
NC Sports Hall of Fame
2016-01-03
[60]
웹인용
Phillies Wall of Fame
http://philadelphia.[...]
2016-01-01
[61]
웹인용
Jack Coombs Field
http://www.goduke.co[...]
Duke University Blue Devils
2005-1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